건강정보
HOME > 건강정보 > 칼럼


비인두강 혈관섬유종, 이런 경우 의심해 봐야..
비인두강 혈관섬유종, 이런 경우 의심해 봐야..

비인두강 혈관섬유종은 비인강(코의 뒷쪽 끝에 있는 부위로서 인두강과 연결되는 부위)에서 가장 흔한 양성종양으로 사춘기에서 청년기 남자에서 주로 발생하여 청년층의 혈관 섬유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형태학적으로 양성이지만 파괴적인 양성종양으로 두경부암의 0.05%를 차지한다. 조직학적으로 섬유질의 간질에 풍부한 혈관을 보이고, 비인강 상벽과 익돌판이라는 뼈가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고 추측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이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다.

- 비출혈(코피)
- 비폐색(심한 양측성의 코막힘)
- 비루(콧물)
- 얼굴 변형(혹이 진행하여 커지는 경우 얼굴부위의 변형을 초래)
- 장액성 중이염(비인강에는 코의 뒷부분과 중이강, 즉 고막안쪽을 연결하는 중이관이 있어 혹이 커지는 경우에는 이 중이강내에 물이 고이게 된다.)
- 구개 팽대(혹이 커지면서 목젖이 있는 부위의 구개가 불룩하게 커지게 된다.)

비인두강 혈관섬유종은 비록 양성종양이지만 커지면서 비강, 부비동, 익돌구개와, 안와, 두개강내로도 침범하는 경향이 있어 임상적으로는 악성과 같은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 종양은 진단이 되면 가능한 조기에 수술적으로 치료를 하여야 다른 합병증이 생기지 않지만 간혹 재발하는 경우도 있다.
제공-하이닥(www.hidoc.co.kr)

이전글 : 흡연자에 대한 10가지 부탁의 호소문
다음글 : 성대마비, 성대 운동을 할 수 없는 상태